Summary Classical Parametric Trend of Spatio-Temporal Model including Risk Factors
INLA는 잠재 가우스 모형 (latent gaussian model)에 특화된 방법이며 복잡한 사후 분포를 단순화된 라플라스 근사치를 이용하고 적분을 유한개의 가중 합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MCMC에 비해 비교적 짧은 계산시간에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2017년 ~ 2019년에 서울에서 발생한 5대강력범죄를 분석하기 위해 R-INLA (Integrated Nested Laplace Approximations)를 적용해보았다. 데이터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에서 수집하였다. 게다가 범죄발생은 공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며, 공간의 가변적 특성을 고려한다면
시공간 모형(Spatio-Temporal Model)
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공간 모형으로는BYM Model
, 시간 모형으로는"Classical Parameteric Trend"
을 이용하였다.게다가 서울 5대 강력범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치안시설 수, 안심귀가스카우트 이용수, 여성인구비를 고려해보았다.
서울 강간강제추행범죄는 count data이기 때문에 Poisson regression이 사용된다. \(i\)번째 자치구의 \(t\)시간에서 발생한 5대 강력범죄 건수를 \(y_{it}\)라고 할 때, \[\begin{align*} y_{it} &\thicksim Poisson(\lambda_{it}), \;\; \lambda_{it} = E_{it}\rho_{it}\\ \eta_{it} &= \log{\rho_{it}} = b_{0} + u_{i} + v_{i} + (\beta+\delta_{i})*t + \sum_{j} \beta_{j}x_{jit} \end{align*}\]
➤ Classical Parametric Trend는 선형추세만을 가정한다
BYM Model은 공간적으로 구조화된 요소(\(u_{i}\))와 비구조화된 요소(\(v_{i}\))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한다.
\[\begin{align*} &u_{i} \vert u_{-i} \thicksim N(m_{i}, s^2_{i}),\\ &m_{i} = \frac{\sum_{j \in \mathcal{N}_{i}} u_{j}}{{\# \mathcal{N}_{i}}} ,\;\; s^2_{i} = \frac{\sigma^2_{u}}{\# \mathcal{N}_{i}}, \end{align*}\]
\(\mathcal{N}_{i}\) : \(i\) 번째 지역과 근접한 이웃 지역 집합
\(\# \mathcal{N}_{i}\) : \(i\) 번째 지역과 근접한 이웃 지역 갯수
\(m_{i}\) : \(i\) 번째 지역과 근접한 이웃 지역들의 \(u_{j}\) 평균
\(s^2_{i}\) : 근접한 이웃 수에 의존
공간 상관관계는 iCAR을 사용
\[\begin{align*} v_{i} \thicksim N(0, \sigma^2_{v}) \end{align*}\]
\[\begin{align*} \delta_{i} \thicksim N(0, \sigma^2_{\delta}) \end{align*}\]
모수 (Parameter)는 \(\log{\tau_{u}}\), \(\log{\tau_{v}}\), \(\log{\tau_{\delta}}\) , where \(\tau_{u} = 1/{\sigma^2_{u}}\), \(\tau_{v} = 1/{\sigma^2_{v}}\), \(\tau_{\delta} = 1/{\sigma^2_{\delta}}\)
\(u_{i}\)와 \(v_{i}\)는 독립적으로 해석할 수 없으며, 오직 \(\xi_{i}=u_{i}+v_{i}\)로 공간 효과를 식별할 수 있음
2017년 ~ 2019년에 서울에서 발생한 5대강력범죄를 분석하기 위해 R-INLA (Integrated Nested Laplace Approximations)를 이용하여 시공간모형을 적용해보았다. 데이터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에서 수집하였다.
pacman::p_load("maptools", # For readShapePoly
"spdep", # For poly2nb
"dplyr",
"RColorBrewer", # For brewer.pal
"ggplot2",
"INLA")
dat.2017 <- read.csv("2017_crime.csv",header=T)
dat.2018 <- read.csv("2018_crime.csv",header=T)
dat.2019 <- read.csv("2019_crime.csv",header=T)
# Convert rows in the order of ESPI_PK
dat.2017 <- dat.2017[order(dat.2017$ESRI_PK),]
dat.2018 <- dat.2018[order(dat.2018$ESRI_PK),]
dat.2019 <- dat.2019[order(dat.2019$ESRI_PK),]
# Change for year
dat.2017 <- dat.2017 %>%
mutate(year = 1)
dat.2018 <- dat.2018 %>%
mutate(year = 2)
dat.2019 <- dat.2019 %>%
mutate(year = 3)
# Combining for data
dat <- rbind(dat.2017, dat.2018, dat.2019)
seoul.map <- maptools::readShapePoly("./TL_SCCO_SIG_W_SHP/TL_SCCO_SIG_W.shp") # Call .shp file
seoul.nb <- poly2nb(seoul.map) # Builds a neighbours list based on regions with contiguous boundaries
seoul.listw <- nb2listw(seoul.nb) # Supplements a neighbours list with spatial weights for the chosen coding scheme
seoul.mat <- nb2mat(seoul.nb) # Generates a weights matrix for a neighbours list with spatial weights for the chosen coding scheme
# Object of class "nb"
흔하게 사용하는 예상되는 수 (\(E_{it}\))는 \[\begin{align*} E_{it} = n_{it}\frac{\sum_{t}\sum_{i} y_{it}}{\sum_{t}\sum_{i} n_{it}}, \end{align*}\]
(참고 : Bayesian Disease Mapping: Hierarchical Modeling in Spatial Epidemiology p.293)
INLA에서는 근접행렬을 이용하여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H <- inla.read.graph(filename="Seoul.graph")
image(inla.graph2matrix(H),xlab="",ylab="")
dat <- dat %>%
mutate(pop_female_rate = pop_femal/pop_total)
pop_female_rate_mean sec_fac_mean safe_return_use_mean
1 0.511025 17.97333 13530.95
pop_female_rate_sd sec_fac_sd safe_return_use_sd
1 0.00903732 4.194505 7629.22
➤ 치안시설 수, 안심귀가스카우트 이용수의 표준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하여 자연로그 변환을 실시하였다.
dat$ID.area <- 1:25 # The Identifiers For The Boroughs
dat$ID.area1 <- dat$ID.area # Duplicate of ID.area
formula <- crime ~ 1 + f(ID.area, model="bym", graph = seoul.adj) +
f(ID.area1, year, model="iid") + # delta_i
year + # main trend
ln_sec_fac + ln_safe_return_use + pop_female_rate
model.cl <- inla(formula,family = "poisson", data = dat, E = E, # E = E or offset = log(E)
control.predictor=list(compute=TRUE), # Compute the marginals of the model parameters
control.compute = list(dic = TRUE)) # Compute some model choice criteria
summary(model.cl)
Call:
c("inla(formula = formula, family = \"poisson\", data = dat, E
= E, ", " control.compute = list(dic = TRUE),
control.predictor = list(compute = TRUE))" )
Time used:
Pre = 0.585, Running = 1.65, Post = 0.0807, Total = 2.31
Fixed effects:
mean sd 0.025quant 0.5quant 0.975quant mode
(Intercept) 0.508 2.616 -4.684 0.526 5.597 0.563
year -0.014 0.011 -0.037 -0.014 0.008 -0.014
ln_sec_fac 0.033 0.116 -0.196 0.033 0.261 0.033
ln_safe_return_use 0.009 0.012 -0.015 0.008 0.032 0.008
pop_female_rate -1.238 5.153 -11.259 -1.274 8.976 -1.345
kld
(Intercept) 0
year 0
ln_sec_fac 0
ln_safe_return_use 0
pop_female_rate 0
Random effects:
Name Model
ID.area BYM model
ID.area1 IID model
Model hyperparameters:
mean sd 0.025quant
Precision for ID.area (iid component) 7.51 2.13 4.05
Precision for ID.area (spatial component) 1820.39 1817.80 119.72
Precision for ID.area1 567.36 173.93 294.03
0.5quant 0.975quant mode
Precision for ID.area (iid component) 7.28 12.36 6.83
Precision for ID.area (spatial component) 1280.39 6640.64 323.62
Precision for ID.area1 545.49 969.27 503.65
Expected number of effective parameters(stdev): 51.02(0.496)
Number of equivalent replicates : 1.47
Deviance Information Criterion (DIC) ...............: 1071.86
Deviance Information Criterion (DIC, saturated) ....: 311.49
Effective number of parameters .....................: 51.23
Marginal log-Likelihood: -666.97
Posterior marginals for the linear predictor and
the fitted values are computed
회귀계수 (\(\beta\))가 0과 다른지 즉, 예측변수가 강간강제추행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해서 Posterior Probability를 이용하였다. 왜냐하면 Posterior probability는 Bayesian에서 \(p\)-value에 대응되는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marginal <- inla.smarginal(model.cl$marginals.fixed$ln_sec_fac)
marginal <- data.frame(marginal)
ggplot(marginal, aes(x = x, y = y)) +
labs(x = expression(beta[log(sec_fac)]), y = "Density") +
geom_vline(xintercept = 0, col = "red") +
geom_hline(yintercept = 0, col = "grey") +
geom_line() +
theme_classic()
[1] 0.6108568
➤ 치안시설 수에 대한 회귀계수의 Posterior probability가 80%이하이므로 치안시설 수는 5대강력범죄에 유의하지 않다.
marginal <- inla.smarginal(model.cl$marginals.fixed$ln_safe_return_use)
marginal <- data.frame(marginal)
ggplot(marginal, aes(x = x, y = y)) +
labs(x = expression(beta[log(safe_return_use)]), y = "Density") +
geom_vline(xintercept = 0, col = "red") +
geom_hline(yintercept = 0, col = "grey") +
geom_line() +
theme_classic()
[1] 0.7583344
➤ 안심귀가스카우트 이용수에 대한 회귀계수의 Posterior probability가 80%이하이므로 안심귀가스카우트 이용수는 5대강력범죄에 유의하지 않다.
marginal <- inla.smarginal(model.cl$marginals.fixed$pop_female_rate)
marginal <- data.frame(marginal)
ggplot(marginal, aes(x = x, y = y)) +
labs(x = expression(beta[pop_female_rate]), y = "Density") +
geom_vline(xintercept = 0, col = "red") +
geom_hline(yintercept = 0, col = "grey") +
geom_line() +
theme_classic()
[1] 0.5991179
➤ 여성인구비에 대한 회귀계수의 Posterior probability가 80%이하이므로 여성인구비는 5대강력범죄에 유의하지 않다.
Spatio-Temporal Model에서 전체 연구기간에 걸친 전반적인 공간 패턴
을 보여주기 위하여 공간 효과에 대한 Map을 그려보았다. 이 때, 공간 패턴은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모든 시간에 대해 일정하며, 가까운 지역들끼리 비슷한 색깔을 가진다면 공간 의존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 Random Effect for spatial structure (ui+vi)
csi <- model.cl$marginals.random$ID.area[1:25] # Extract the marginal posterior distribution for each element of the random effects
zeta <- lapply(csi,function(x) inla.emarginal(exp,x)) # The exponential transformation and calculate the posterior mean for each of them
# Define the cutoff for zeta
zeta.cutoff <- c(0.5, 0.9, 1.3, 1.9, 2.3, 2.7, 3.0)
# Transform in categorical variable
cat.zeta <- cut(unlist(zeta),breaks=zeta.cutoff,
include.lowest=TRUE)
➤ BYM Model은 \(\xi_{i}=u_{i}+v_{i}\) 와 \(u_{i}\)를 모수화기 때문에 marginals.random$ID.area
의 총 2K개가 존재한다.
➤ 우리가 관심있는 것은 \(\xi_{i}=u_{i}+v_{i}\)이므로 marginals.random$ID.area[1:25]
를 추출한다.
단순히 공간효과만 비교하는 것보다 초과 확률(Exceedance probabilities)을 비교하는 것도 용이하다. 왜냐하면 초과 확률은 불확실성(Uncertainty)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또한, 단순히 점추정이 1이 넘는 지역이라도 불확실성을 고려한 posterior probability를 보면 cutoff value를 넘지 못할 수 있으며, 그 지역이 위험한 지역이라 선언하기 충분한 신뢰성이 없을 수 있다.
➤ \(P(\exp(\xi_{i}>1)\vert Y) = P(\xi_{i}>0\vert Y)\).
maps.cat.zeta <- data.frame(ESRI_PK=dat.2019$ESRI_PK, cat.zeta=cat.zeta, cat.prob=cat.prob)
#Add the categorized zeta to the spatial polygon
data.boroughs <- attr(seoul.map, "data")
attr(seoul.map, "data") <- merge(data.boroughs, maps.cat.zeta,
by="ESRI_PK")
# For adding name of Seoul
lbls <- as.character(seoul.map$SIG_ENG_NM) # 자치구명
spl <- list('sp.text', coordinates(seoul.map), lbls, cex=.7)
# Map zeta
spplot(obj=seoul.map, zcol= "cat.zeta", sp.layout = spl,
col.regions=brewer.pal(6,"Blues"), asp=1)
➤ \(\exp(\xi_{i})\)가 1 보다 크면 전체 연구기간에 걸쳐서
\(i\)번째 지역의 평균 위험(risk)는 전체 지역보다 높은 위험
을 가진다.
# Map prob
spplot(obj=seoul.map, zcol= "cat.prob",sp.layout = spl,
col.regions=brewer.pal(5,"Blues"), asp=1)
공간효과와 시간효과를 고려하여 추정된 상대적 위험(Relative Risk)
는 summary.fitted.values
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 Estimated Relative risk
est.rr <- model.cl$summary.fitted.values$mean
rr.cutoff <- c(0.5, 0.9, 1.3, 1.9, 2.3, 2.7, 3.0)
cat.rr <- cut(unlist(est.rr),breaks = rr.cutoff,
include.lowest = TRUE)
# Posterior probability p(Relative risk > a1|y)
mar.rr <- model.cl$marginals.fitted.values
a1 <- 1
prob.rr <- lapply(mar.rr, function(x) {1 - inla.pmarginal(a1, x)})
cat.rr.prob <- cut(unlist(prob.rr),breaks = prob.cutoff,
include.lowest = TRUE)
maps.cat.rr <- data.frame(ESRI_PK=dat.2019$ESRI_PK,
rr.2017=cat.rr[1:25], rr.2018=cat.rr[26:50], rr.2019=cat.rr[51:75],
rr.prob.2017=cat.rr.prob[1:25], rr.prob.2018=cat.rr.prob[26:50], rr.prob.2019=cat.rr.prob[51:75])
#Add the categorized zeta to the spatial polygon
data.boroughs <- attr(seoul.map, "data")
attr(seoul.map, "data") <- merge(data.boroughs, maps.cat.rr,
by="ESRI_PK")
# Map
spplot(obj=seoul.map, zcol= c("rr.2017", "rr.2018", "rr.2019"),
names.attr = c("2017", "2018", "2019"), # Changes Names
sp.layout = spl,
col.regions=brewer.pal(6,"Blues"), as.table=TRUE)
➤ \(\rho_{it}\)가 1 보다 크면, 공간효과와 시간효과를 고려했을 때, \(t\)년도의 \(i\)번째 지역은 전체 지역의 평균(전체 연구기간에 걸쳐서)보다 높은 위험 (risk) 을 가진다.
➤ 0.8 이상
인 지역을 위험이 높은 hot-spot
지역, 0.2 이하
인 지역을 위험이 낮은 cool-spot
지역이라 한다.
Text and figures are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C BY 4.0. The figures that have been reused from other sources don't fall under this license and can be recognized by a note in their caption: "Figure fr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