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Code Description for One Sample T-Test
통계적 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은 모집단에 대한 가설을 설정한 후 표본에 근거하여 그 가설을 기각(Reject) 또는 채택(Accept)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다. 가설은 귀무가설(\(H_0\))과 대립가설(\(H_1\))로 구분되며, 이 두 가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통계량을 검정통계량(Test Statistic)이라고 한다. 가설의 기각 또는 채택은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가설검정은 대립가설의 형태에 따라 양측검정(Two-side Test)과 단측검정(One-side Test)으로 구분된다. 다음은 모평균 검정에서의 양측검정과 단측검정에 대한 일반적인 가설의 형태를 나타낸다.
\[ \begin{align} &\cdot \;\text{양측검정} \;\;\;: \begin{cases} H_0 : \mu = \mu_0\\ H_1 : \mu \ne \mu_0 \end{cases}\\ &\cdot \;\text{우단측검정} : \begin{cases} H_0 : \mu \le \mu_0\\ H_1 : \mu > \mu_0 \end{cases}\\ &\cdot \;\text{좌단측검정} : \begin{cases} H_0 : \mu \ge \mu_0\\ H_1 : \mu < \mu_0 \end{cases} \end{align} \]
하나의 모집단
에서 임의로 표본을 추출하여 모평균 \(\mu\)에 대한 가설검정을 수행한다고 할 때, 다음 그림을 참고하자. 표본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에 의해 모집단의 분포에 상관없이 표본평균 \(\bar{X}\)의 분포는 근사적으로 정규분포가 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Z\) Test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한 개의 관측치를 얻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많은 관측치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표본의 크기가 작아서 중심극한정리를 이용할 수 없다. 실제로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표본평균 \(\bar{X}\)의 분포는 모집단의 분포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즉, 모집단의 분포에 따라 \(\bar{X}\)의 분포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모든 모집단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계적 추론방법을 제시할 수 없다.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르고 모분산이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
에는
\(t\) 분포를 이용하여 모평균에 대한
구간추정과 검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제로 사용된 데이터들은 모두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 표준정규분포와 t 분포NAx <- seq(-5, 5, 0.01)
plot(x, dnorm(x, 0, 1), type = "l", xlab = "", ylab = "")
lines(x, dt(x, df = 2), type = "l", col = "red")
lines(x, dt(x, df = 5), type = "l", col = "green")
lines(x, dt(x, df = 10), type = "l", col = "orange")
lines(x, dt(x, df = 20), type = "l", col = "blue")
legend("topright", col = c("black", "red", "green", "orange", "blue"),
legend = c("N(0,1)", "t(2)", "t(5)", "t(10)", "t(20)"), lty = 1,
)
우주선 제작에 쓰기 위해서 새롭게 개발된 합금의 평균 장력 \(\mu\)를 추정하고자 한다. 15개의 새 합금조각으로부터 장력을 측정한 결과 평균이 39.3, 표준편차가 2.6으로 나타났을 때, 새롭게 개발된 합금의 평균장력 \(\mu\)에 대한 90% 신뢰구간을 구하라.
[1] 38.1176
[1] 40.4824
Caution!
함수 qt(p, df)
는 \(P[T<t]=p,\;\; T\sim t(df)\)인 \(t\) 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옵션
lower.tail = FALSE
을 지정함으로써 \(P[T>t]=p,\;\; T\sim t(df)\)인 \(t\) 값을 계산할 수 있다.
Result!
새롭게 개발된 합금의 평균장력에 대한 90% 신뢰구간은
(38.12, 40.48)이다.
새로운 종자에서 얻은 7개의 강낭콩에 대한 발아시기가 12, 16, 15, 20, 17, 11, 18로 기록되었다.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만족할 때, 이 새로운 종자에 대한 실제 평균 발아시기의 95%와 99% 신뢰구간을 구하라.
[1] 7
# 표본평균
bar.x <- mean(x)
bar.x
[1] 15.57143
#표본표준편차NAs <- sd(x)
s
[1] 3.207135
[1] 12.60532
[1] 18.53753
[1] 11.07735
[1] 20.06551
Result!
새로운 종자에 대한 실제 평균 발아시기의 95%
신뢰구간은 (12.61, 18.54)이며, 99% 신뢰구간은 (11.08, 20.07)이다.
t.test()
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x
: 가설검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데이터alternative
: 검정하고자 하는 대립가설의 종류
two.sided
: 양측검정less
: 좌단측검정greater
: 우단측검정mu
: 귀무가설 \(H_0:\mu=\mu_0\)에서의 \(\mu_0\)값
conf.level
: 신뢰구간의 신뢰수준
0.95
: 95% 신뢰구간을 제공어느 도시의 보건복지과에서는 그 도시의 상수원인 어느 호수의 수질에 관심이 있다고 한다. 수질을 나타내는 하나의 수치로 단위부피당 평균 세균수가 있는데, 그 수가 200 이상이면 상수원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한다. 호수의 열 군데에서 물을 떠서 조사한 결과 단위부피당 세균수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이 자료로부터 호수의 단위부피당 평균 세균수(\(\mu\))가 200보다 적다고 주장할 수 있겠는가?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
\[ \begin{align} 175\;\; 190\;\; 215\;\; 198\;\; 184\\ 207\;\; 210\;\; 193\;\; 196\;\; 180 \end{align} \]
# 데이터x <- c(175, 190, 215, 198, 184, 207, 210, 193, 196, 180)
# t 검정
t.test(x, alternative = "less", mu = 200)
One Sample t-test
data: x
t = -1.2516, df = 9, p-value = 0.1211
alternative hypothesis: true mean is less than 200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Inf 202.4162
sample estimates:
mean of x
194.8
Caution!
예제에서 귀무가설은 \(H_0 : \mu\ge 200\), 대립가설은 \(H_1 : \mu<200\)이다. \(H_0\)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서 검정통계량은
\(T=\frac{\bar{X}-200}{13.13858/\sqrt{10}}\sim
t(9)\)이다.
Result!
관측된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표본평균은 194.8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은 \(t=\frac{194.8-200}{13.13858/\sqrt{10}}=-1.2516\)이며,
유의확률 \(p\)-값은 \(P(T\le -1.2516)=0.1211\)이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0.05보다 크기 때문에 귀무가설 \(H_0 : \mu\ge
200\)을 기각할 수 없다. 즉, 주어진 10개의 자료로부터 호수의
단위부피당 평균세균수가 200보다 적다고 안심할 수 없다. 유의확률을
계산하지 않고도 기각역이 \(R : T\le
-1.833\)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 \(t\)가 기각역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또한, 95% 신뢰구간은 \(\left(-\infty,
\bar{X}+t_{0.05}(n-1)\frac{S}{\sqrt{n}}\right)\)이며, 주어진
자료로부터 계산된 95% 신뢰구간은 \(\left(-\infty, 202.4162\right)\)이다.
어떤 압축기의 냉각제로 사용된 물의 평균 온도증가는 5℃를 넘어서는 안된다고 한다. 냉각제의 온도증가량을 8개의 독립적인 압축기의 수관에서 측정하였더니 그 측정치들이 다음과 같았다. 이들 자료로부터 평균 온도증가가 5℃를 넘는다고 할 수 있겠는가?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
\[ \begin{align} 6.4\;\; 4.3\;\; 5.7\;\; 4.9\;\; 6.5\;\; 5.9 \;\; 6.4\;\; 5.1 \end{align} \]
# 데이터 x <- c(6.4, 4.3, 5.7, 4.9, 6.5, 5.9, 6.4, 5.1)
# t 검정
t.test(x, alternative = "greater", mu = 5)
One Sample t-test
data: x
t = 2.2679, df = 7, p-value = 0.02883
alternative hypothesis: true mean is greater than 5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5.107003 Inf
sample estimates:
mean of x
5.65
Caution!
예제에서 귀무가설은 \(H_0 : \mu\le 5\), 대립가설은 \(H_1 : \mu>5\)이다. \(H_0\)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서 검정통계량은
\(T=\frac{\bar{X}-5}{0.8106435/\sqrt{8}}\sim
t(7)\)이다.
Result!
관측된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표본평균은 5.65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은 \(t=\frac{5.65-5}{0.8106435/\sqrt{8}}=2.2679\)이며,
유의확률 \(p\)-값은 \(P(T\ge 2.2679)=0.02883\)이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0.05보다 작기 때문에 귀무가설 \(H_0 : \mu\le
5\)을 기각한다. 즉, 주어진 8개의 자료로부터 평균 온도증가가 5℃를
넘는다고 할 수 있다. 유의확률을 계산하지 않고도 기각역이 \(R : T \ge 1.8946\)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
\(t\)가 기각역에 포함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또한, 95% 신뢰구간은 \(\left(\bar{X}-t_{0.05}(n-1)\frac{S}{\sqrt{n}},
\infty \right)\)이며, 주어진 자료로부터 계산된 95% 신뢰구간은
\(\left(5.107003, \infty
\right)\)이다.
다음에 주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가설 \(H_0 : \mu = 120\), \(H_1 : \mu \ne 120\)을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하고자 한다.
\[ \begin{align} 128\;\; 118 \;\; 120\;\; 122\;\; 119\;\; 113\;\; 124\;\; 122\;\; 120\;\; 123 \end{align} \]
# 데이터 x <- c(128, 118, 120, 122, 119, 113, 124, 122, 120, 123)
# t 검정
t.test(x, alternative = "two.sided", mu = 120)
One Sample t-test
data: x
t = 0.71425, df = 9, p-value = 0.4932
alternative hypothesis: true mean is not equal to 120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118.0495 123.7505
sample estimates:
mean of x
120.9
Caution!
예제에서 귀무가설은 \(H_0 : \mu = 120\), 대립가설은 \(H_1 : \mu \ne 120\)이다. \(H_0\)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서 검정통계량은
\(T=\frac{\bar{X}-120}{3.984693/\sqrt{10}}\sim
t(9)\)이다.
Result!
관측된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표본평균은 120.9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은 \(t=\frac{120.9-120}{3.984693/\sqrt{10}}=0.71425\)이며,
유의확률 \(p\)-값은 \(2P(T\ge |0.71425|) = 0.4932\)이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0.05보다 크기 때문에 귀무가설 \(H_0 : \mu=
120\)을 기각할 수 없다. 즉, 주어진 10개의 자료로부터 평균이
120이라고 할 수 있다. 유의확률을 계산하지 않고도 기각역이 \(R : |T| \ge 2.2622\)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 \(t\)가 기각역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또한, 95% 신뢰구간은 \(\left(\bar{X}-t_{0.025}(n-1)\frac{S}{\sqrt{n}},
\bar{X}+t_{0.025}(n-1)\frac{S}{\sqrt{n}} \right)\)이며, 주어진
자료로부터 계산된 95% 신뢰구간은 \(\left(118.0495, 123.7505 \right)\)이다.
오수침전물이 비료로 쓰였던 6개의 대표적인 정원엣 양상추잎을 대상으로 중금속인 카드뮴의 놑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값을 얻었다. 카드뮴의 평균 농도가 12보다 크다는 증거가 있는가?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
\[ \begin{align} 21\;\; 38\;\; 12\;\; 15\;\; 14\;\; 8 \end{align} \]
One Sample t-test
data: x
t = 1.3765, df = 5, p-value = 0.1136
alternative hypothesis: true mean is greater than 12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9.216608 Inf
sample estimates:
mean of x
18
Caution!
예제에서 귀무가설은 \(H_0 : \mu \le 12\), 대립가설은 \(H_1 : \mu > 12\)이다. \(H_0\)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서 검정통계량은
\(T=\frac{\bar{X}-12}{10.67708/\sqrt{6}}\sim
t(5)\)이다.
Result!
관측된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표본평균은 18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은 \(t=\frac{18-12}{10.67708/\sqrt{6}}=1.3765\)이며,
유의확률 \(p\)-값은 \(P(T \ge 1.3765)= 0.1136\)이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0.05보다 크기 때문에 귀무가설 \(H_0 : \mu \le
12\)을 기각할 수 없다. 즉, 주어진 6개의 자료로부터 카드뮴의 평균
농도가 12보다 크다고 할 수 없다. 유의확률을 계산하지 않고도 기각역이
\(R : T \ge 2.0150\)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 \(t\)가 기각역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또한, 95% 신뢰구간은 \(\left(\bar{X}-t_{0.05}(n-1)\frac{S}{\sqrt{n}},
\infty \right)\)이며, 주어진 자료로부터 계산된 95% 신뢰구간은
\(\left(9.216608, \infty
\right)\)이다.
다음에 주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가설 \(H_0 : \mu = 120\), \(H_1 : \mu \ne 120\)을 검정하고자 한다.
\[ \begin{align} 128\;\; 118 \;\; 120\;\; 122\;\; 119\;\; 113\;\; 124\;\; 122\;\; 120\;\; 123 \end{align} \]
# 데이터 x <- c(128, 118, 120, 122, 119, 113, 124, 122, 120, 123)
# t 검정
t.test(x, alternative = "two.sided", mu = 120)
One Sample t-test
data: x
t = 0.71425, df = 9, p-value = 0.4932
alternative hypothesis: true mean is not equal to 120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118.0495 123.7505
sample estimates:
mean of x
120.9
Result!
95% 신뢰구간이 \((118.0495, 123.7505)\)이므로 \(\mu_0=120\)을 포함한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 \(H_0 : \mu =
120\)을 기각할 수 없다.
\[ \begin{align} 1.8\;\; 10.6\;\; -1.2\;\; 12.9\;\; 15.1\;\; -2.0\;\; 6.25\;\; 10.8 \end{align} \]8명의 환자에 대하여 3주 동안 체지방이 감소하는 양을 기록하였다. 가설 \(H_0 : \mu = 15\), \(H_1 : \mu \ne 15\)을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하고자 한다.
# 데이터x <- c(1.8, 10.6, -1.2, 12.9, 15.1, -2.0, 6.25, 10.8)
# t 검정
t.test(x, alternative = "two.sided", mu = 15)
One Sample t-test
data: x
t = -3.5317, df = 7, p-value = 0.009577
alternative hypothesis: true mean is not equal to 15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1.278373 12.284127
sample estimates:
mean of x
6.78125
Result!
95% 신뢰구간이 \((1.278373, 12.284127)\)이므로 \(\mu_0=15\)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 \(H_0 : \mu
= 15\)를 기각할 수 있다.
개체의 비율을 추정
한다고 하자.
어느 대학교의 총학생회장 선거에서의 투표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7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9명이 투표에 참가하였다고 하자. 모비율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구하라.
# 표본비율율
p <- 49/78
p
[1] 0.6282051
[1] 0.5209537
[1] 0.7354566
Caution!
함수 qnorm(p, mean, sd)
는 \(P[X<x]=p,\;\; X\sim N(\text{mean},
\text{sd}^2)\)인 \(x\) 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옵션 lower.tail = FALSE
을 지정함으로써
\(P[X>x]=p,\;\; X\sim N(\text{mean},
\text{sd}^2)\)인 \(x\) 값을
계산할 수 있다.
Result!
대학교의 총학생회장 선거에서의 투표율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0.52, 0.74)이다.
어떤 사람이 A 상표 세제의 시장점유율을 조사한다고 하자. 즉, 모든 상표들의 총 판매량에 대한 A 상표의 판매량을 비율을 조사하려고 한다. 그 사람은 몇 개의 상점으로부터 425상자의 세제가 판매된 가운데 120상자가 A 상표의 세제였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하자. A 상표의 시장점유율에 대한 90%, 99% 신뢰구간을 구하라.
# 표본비율율
p <- 120/425
p
[1] 0.2823529
[1] 0.2464372
[1] 0.3182686
[1] 0.2261092
[1] 0.3385967
Result!
A 상표의 시장점유율에 대한 90%, 99% 신뢰구간은
각각 (0.25, 0.32)와 (0.23, 0.34)이다.
prop.test()
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x
: 성공횟수n
: 실행횟수p
: 귀무가설 \(H_0:p=p_0\)에서의 \(p_0\)값
alternative
: 검정하고자 하는 대립가설의 종류
two.sided
: 양측검정less
: 좌단측검정greater
: 우단측검정conf.level
: 신뢰구간의 신뢰수준
0.95
: 95% 신뢰구간을 제공어떤 특정한 암의 경우에 수술을 시행한 후 완치되는 비율(5년 이상 생존비율)이 30%라고 한다. 이 암에 걸린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뿐 아니라 수술 전후에 일정기간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더니 60명 중 27명이 완치되었다고 한다. 이 자료로부터 수술만 하는 것보다 방사선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암의 완치율(\(p\))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는지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하라.
prop.test(x = 27, n = 60, p = 0.3, alternative = "greater", correct = FALSE)
1-sample proportions test without continuity correction
data: 27 out of 60, null probability 0.3
X-squared = 6.4286, df = 1, p-value = 0.005615
alternative hypothesis: true p is greater than 0.3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0.3487964 1.0000000
sample estimates:
p
0.45
Caution!
예제에서 귀무가설은 \(H_0 : p\le 0.3\), 대립가설은 \(H_1 : p > 0.3\)이다. \(H_0\)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서 검정통계량은
\(Z=\frac{\hat{p}-0.3}{\sqrt{\frac{0.3*0.7}{60}}}
\sim N(0, 1)\)이다.
함수 prop.test(, correct = FALSE)
는 연속성의 수정을 하지
않겠다는 옵션이다.
Result!
관측된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표본비율은 0.45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은 \(z=\frac{0.45-0.3}{\sqrt{\frac{0.3*0.7}{60}}}=2.535463\)이다.
출력창에 “X-squared” 값이 바로 \(z\)
값을 제곱한 \(z^2\)이며, 표준정규분포를
제곱하면 자유도가 1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 유의확률 \(p\)-값은 \(P(Z
\ge 2.535463)= 0.005615\)이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0.05보다 작기 때문에
귀무가설 \(H_0 : p \le 0.3\)을 기각할
수 있다. 즉, 수술만 하는 것보다 방사선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암의 완치율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
정치문제에 관심을 가진 한 시민들의 모임에서, 유권자의 절반 미만이 대통령의 최근 중대국면에 대한 대처방안을 지지하고 있음을 보이려고 한다. 500명의 유권자로 이루어진 표본 중에 228명이 지지표를 던졌다면, 어떠한 검정결과가 나오겠는가?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
prop.test(x = 228, n = 500, p = 0.5, alternative = "less", correct = FALSE)
1-sample proportions test without continuity correction
data: 228 out of 500, null probability 0.5
X-squared = 3.872, df = 1, p-value = 0.02455
alternative hypothesis: true p is less than 0.5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0.0000000 0.4927762
sample estimates:
p
0.456
Caution!
예제에서 귀무가설은 \(H_0 : p\ge 0.5\), 대립가설은 \(H_1 : p < 0.5\)이다. \(H_0\)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서 검정통계량은
\(Z=\frac{\hat{p}-0.5}{\sqrt{\frac{0.5*0.5}{500}}}
\sim N(0, 1)\)이다.
함수 prop.test(, correct = FALSE)
는 연속성의 수정을 하지
않겠다는 옵션이다.
Result!
관측된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표본비율은 0.456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은 \(z=\frac{0.456-0.5}{\sqrt{\frac{0.5*0.5}{500}}}=-1.96774\)이다.
출력창에 “X-squared” 값이 바로 \(z\)
값을 제곱한 \(z^2\)이며, 표준정규분포를
제곱하면 자유도가 1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 유의확률 \(p\)-값은 \(P(Z
\le -1.96774)= 0.02455\)이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0.05보다 작기 때문에
귀무가설 \(H_0 : p \ge 0.5\)을 기각할
수 있다. 즉, 유권자의 절반 미만이 대통령의 최근 중대국면에 대한
대처방안을 지지하고 있다.
\(p\)를 지난해에 미국의 어느 도시에서 법률상담한 성인의 비율이라고 하자. 200명의 임의추출된 표본에서 65명이 법률상담을 의뢰하였다고 하면 가설 \(H_0 : p\le 0.25\), \(H_1 : p>0.25\)에 대한 검정결과는 어떻게 되겠는가?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
prop.test(x = 65, n = 200, p = 0.25, alternative = "greater", correct = FALSE)
1-sample proportions test without continuity correction
data: 65 out of 200, null probability 0.25
X-squared = 6, df = 1, p-value = 0.007153
alternative hypothesis: true p is greater than 0.25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0.2731741 1.0000000
sample estimates:
p
0.325
Caution!
예제에서 귀무가설은 \(H_0 : p\le 0.25\), 대립가설은 \(H_1 : p > 0.25\)이다. \(H_0\)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서 검정통계량은
\(Z=\frac{\hat{p}-0.25}{\sqrt{\frac{0.25*0.75}{200}}}
\sim N(0, 1)\)이다.
함수 prop.test(, correct = FALSE)
는 연속성의 수정을 하지
않겠다는 옵션이다.
Result!
관측된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표본비율은 0.325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은 \(z=\frac{0.325-0.25}{\sqrt{\frac{0.25*0.75}{200}}}=2.44949\)이다.
출력창에 “X-squared” 값이 바로 \(z\)
값을 제곱한 \(z^2\)이며, 표준정규분포를
제곱하면 자유도가 1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 유의확률 \(p\)-값은 \(P(Z
\ge 2.44949)= 0.007153\)이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0.05보다 작기 때문에
귀무가설 \(H_0 : p \le 0.25\)을 기각할
수 있다. 즉, 법률상담한 성인의 비율이 0.25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영업 담당자는 레몬향과 아몬드향 냄새가 나는 주방용 세제가 소비자들에게 똑같이 인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자 한다. 250명의 소비자를 인터뷰한 결과 145명이 레몬향 주방용 세제를 더 좋아하고, 105명은 아몬드향 주방용 세제를 선택하였다. 이 두 가지 향의 세제 중에서 선호도에 차이가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가?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
# 레몬향 주방용 세제
prop.test(x = 145, n = 250, p = 0.5, alternative = "two.sided", correct = FALSE)
1-sample proportions test without continuity correction
data: 145 out of 250, null probability 0.5
X-squared = 6.4, df = 1, p-value = 0.01141
alternative hypothesis: true p is not equal to 0.5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0.5180609 0.6395177
sample estimates:
p
0.58
Caution!
예제에서 \(p\)를 레몬향 주방용 세제를 더 좋아하는
소비자의 비율이라고 할 때, 귀무가설은 \(H_0 :
p = 0.5\), 대립가설은 \(H_1 : p \ne
0.5\)이다. \(H_0\)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서 검정통계량은 \(Z=\frac{\hat{p}-0.5}{\sqrt{\frac{0.5*0.5}{250}}}
\sim N(0, 1)\)이다.
함수 prop.test(, correct = FALSE)
는 연속성의 수정을 하지
않겠다는 옵션이다.
Result!
관측된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표본비율은 0.58이기
때문에 검정통계량 값은 \(z=\frac{0.58-0.5}{\sqrt{\frac{0.5*0.5}{250}}}=2.529822\)이다.
출력창에 “X-squared” 값이 바로 \(z\)
값을 제곱한 \(z^2\)이며, 표준정규분포를
제곱하면 자유도가 1인 카이제곱분포를 따른다. 유의확률 \(p\)-값은 \(2P(Z\ge |2.529822|)= 0.01141\)이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0.05보다 작기 때문에 귀무가설 \(H_0 : p =
0.5\)을 기각할 수 있다. 즉, 두 가지 향의 세제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있다.
Caution!
만약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아서 모비율의
추정량인 \(\hat{p}=X/n\)이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에 모비율의 검정은 이항분포에 근거를 둔 함수
binom.test()
를 이용해야한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prop.test()
와 동일하다.
binom.test(x, n, p = 0.5, alternative = c("two.sided", "less", "greater"), conf.level = 0.95)
x
: 성공횟수n
: 실행횟수p
: 귀무가설 \(H_0:p=p_0\)에서의 \(p_0\)값
alternative
: 검정하고자 하는 대립가설의 종류
two.sided
: 양측검정less
: 좌단측검정greater
: 우단측검정conf.level
: 신뢰구간의 신뢰수준
0.95
: 95% 신뢰구간을 제공10번 실행에서 3번 성공한 실험결과를 근거로 하여 가설 \(H_0 : p=0.1\), \(H_1 : p\ne 0.1\)에 대한 검정결과는 어떻게 되겠는가? (유의수준 0.05에서 검정)
binom.test(3, 10, p = 0.1, alternative = "two.sided")
Exact binomial test
data: 3 and 10
number of successes = 3, number of trials = 10, p-value =
0.07019
alternative hypothesis: true probability of success is not equal to 0.1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0.06673951 0.65245285
sample estimates:
probability of success
0.3
Result!
관측된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표본비율은 0.3이며,
유의확률 \(p\)-값은 0.07019이다. 이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5%에서 \(p\)-값이
0.05보다 크기 때문에 귀무가설 \(H_0 : p =
0.1\)을 기각할 수 없다.
Text and figures are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C BY 4.0. The figures that have been reused from other sources don't fall under this license and can be recognized by a note in their caption: "Figure from ...".